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kin&wr_id=2669325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kin&wr_id=2710553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105673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cm_mac&wr_id=644270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460148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kin&wr_id=2724816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Bdrive

http://sulac.egloos.com/5678707

http://wdinside.tistory.com/116

http://qortn.tistory.com/202

http://ecat99.blog.me/20126190754

http://chr0m3.tistory.com/37

http://blackturtle.tistory.com/711691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레지스트리  (0) 2015.08.06
구글 파워 서칭  (0) 2015.07.21
Servlets & JSP 용어정리  (0) 2012.02.16
서블릿 서버, 서블릿 컨테이너, JSP 컨테이너, 웹서버  (0) 2012.02.16
Oracle Database 설치 과정  (0) 2012.02.14
Posted by 캐논볼
,

GET과 POST방식의 차이점: 

  • GET 
    • 단순한 요청(링크 클릭)
    • 보낼수 있는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다.
    • URL뒤에 모든 데이터가 붙어 나오므로 보안상 문제가 있다.
  • POST
    •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함께 보내는 경우(서브밋)
    • 서버로 보내는 데이터를 메시지 몸체(Message Body) 또는 짐(payload)라고 함
    • 몸체(Body)가 있다는 것이, GET과 POST방식의 결정적인 차이


웹서버는 정적인 서비스, 하지만 서블릿을 사용함으로써 동적인 웹페이지 구현이 가능하다.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로딩->디폴트 생성자를 호출->init() 메소드 실행


init() 은 서블릿 일생 중 단 한번만 호출


컨테이너가 destroy() 를 호출하여 서블릿의 일생을 마감한다.


컨테이너가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를 한번만 읽기 때문에 서블릿을 수정할 경우 적용시키려면 컨테이너를 내리고 다시 시작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것은 운영중인 서버에서는 매우 힘든 일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상용 웹컨테이너는 핫디플로이(hot redeploy)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ServletConfig는 서블릿 당 하나
ServletContext는 웹 어플리케이션 당 하나


스크립틀릿: <% %> - JSP에 직접 자바코딩을 구현할 수 있다.
지시자: <%@ %> - 컨테이너가 page를 java code로 변환할 때 특별한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고안된 것. page, include, taglib가 있다.
표현식: <%= %> - html이 만들어질때 표현식내 값들이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
선언문: <%! %> - 서블릿의 멤버를 선언하는 곳. 변수 또는 메서드 선언 가능하여 인스턴스 변수나 메서드를 JSP상에서 만들 수 있다.


유지보수상 등의 이유로 <% %>(스크립팅)을 사용하지 않고 ${...}(EL)을 사용한다.
DD(Deployment Descriptor - ex) web.xml)에서 스크립팅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정할수도 있다. 
  • <scripting-invalid>true</srcripting-invalid>
이와 반대로 DD또는 페이지에 EL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정할수도 있다. 
  • DD: <el-ignored>true</el-ignored>
  • page: <%@ page isELIgnored="true" %>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파워 서칭  (0) 2015.07.21
N40L 설정 관련 링크  (0) 2013.03.04
서블릿 서버, 서블릿 컨테이너, JSP 컨테이너, 웹서버  (0) 2012.02.16
Oracle Database 설치 과정  (0) 2012.02.14
gif 파일 만들기  (0) 2012.01.02
Posted by 캐논볼
,
서블릿서버 :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라기 보다는 우리나라에서 관습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는 의미로 서블릿을 돌릴 수 있는 서버라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서블릿 컨테이너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기에는 서블릿을 돌리기 위해서 아파치 등에 모듈로 연동을 해서 사용을 했기 때문에 이런 말이 생겨난 듯 합니다.)

서블릿 컨테이너 : 서블릿을 동작 시킬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즉 HTTP 요청을 받아서 해당 서블릿을 동작을 시키고 그 결과를 사용자의 브라우저로 전달을 해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보통 컨테이너라고 하는 이유는 서블릿 프레임워크 안에서 동작을 하고 서블릿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며, 기타 필요한 작업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즉 HTTP 파라미터 파싱 및 결과 전달 컨트롤, Forwarding, Redirecting 등의 기능을 컨테이너에서 제공을 해줍니다. 이때 서블릿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서블릿을 이 컨테이너에 등록을 하게 되고, 실제 동작을 컨테이너가 알아서 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JSP 컨테이너 / 엔진: 실제로 JSP 컨테이너의 의미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그렇지만 조금 자세히 보면 실제로 JSP 컨테이너라는 것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서블릿 컨테이너가 JSP 컨테이너가 됩니다. 그 이유는 JSP는 PHP/ASP와 같이 완전히 스크립트 형식으로 동작하지 않고 서블릿으로 변환이 된 이후에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JSP를 서블릿으로 컴파일을 해주는 것이 바로 JSP 엔진입니다. 다른 프로그램은 잘 모르겠지만 톰캣의 경우에는 JSP엔진이 바로 JSPServlet 입니다. 즉 JSP를 컴파일하고 동작을 시켜주는 것을 특정 서블릿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보면 JSP 자체가 완전한 서블릿으로 컴파일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JSPservlet이 구동 할 수 있는 형태의 서블릿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별도의 JSP 컨테이너가 있다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웹의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 웹서버와 JSP컨테이너는 별개라고 할수도 아니라고 할수도 있다. 대부분 JSP로 만들어진 사이트는 웹서버와 JSP컨테이너를 탑재하고 있는 WAS를 연동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웹서버가 하는 일은 html,img등 일반 웹문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만을 하지만, JSP컨테이너를 탑재하고 있는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JSP를 컴파일하여 실행한 결과를 html으로 만들어 보여준다.
웹서버만 구축되어 있는 서버는 웹페이지,이미지,영상등을 전달해 줄수는 있지만,
JSP페이지를 컴파일해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하지는 못한다. 이를 위해서는
JSP컨테이너가 탑재되어 있는 WAS가 필요한 것이다.
웹서버는 웹문서를, WAS는 JSP 페이지를, 이런식으로 양분하여 역할분담을
함으로 서버에 부담되는 양을 줄이고자 함이다.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40L 설정 관련 링크  (0) 2013.03.04
Servlets & JSP 용어정리  (0) 2012.02.16
Oracle Database 설치 과정  (0) 2012.02.14
gif 파일 만들기  (0) 2012.01.02
Ubuntu 10.04 LTS 설치  (0) 2011.12.31
Posted by 캐논볼
,

0. eclipse를 설치한다.


1.오라클 홈페이지의 다운로드에 접속한다.  http://www.oracle.com 



2.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DB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한다. 최신버전은 11g이다.



3. 설치 후 바탕화면에 나오는 단축아이콘을 실행시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설정한다.



4.관리에 있는 사용자 관리로 들어간다.



5. 암호를 입혁하고 계정 상태를 잠금 해제로 변경한다. CREATE TABLE을 선택하고 사용자 변경을 한다.



6. 그림과 같이 접근제한이 풀렸다.



7. 이클립스에서 DB를 구현할 오픈소스를 다운받기 위해 다음의 싸이트로 접속한.
 http://www.easyeclipse.org/site/home/index.html



8. QuantumDB를 다운받는다.



9. 설치경로는 이클립스가 깔려있는 경로로 설정한다.



10. 이클립스를 재실행 시킨 후 우측 상단에서 the other를 선택하여 QuantumDB 창을 실행시킨다.



11. 오라클 홈페이지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경로를 지정해준다.



12. 상단의 드라이버를 선택한다.



13. 새로 생성된 드라이버를 선택한다.



14. id와 pass 및 기타사항을 기입한다.



15. HR에 연습용 예제들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osted by 캐논볼
,

gif 파일 만들기

IT 생활 2012. 1. 2. 23:52


 알gif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gif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자료실 :  http://file.naver.com/pc/view.html?fnum=88900&cat=42 


 
Posted by 캐논볼
,

Ubuntu 10.04 LTS 설치

IT 생활 2011. 12. 31. 23:44


 우분투의 버전에서 앞의 숫자는 년도, 뒤쪽의 숫자는 달을 나타낸다. 따라서 10.04는 2010년 4월달에 처음 나온 버전이다. LTS는 Long Time Support 라는 뜻으로 장기간 지원 버전을 뜻한다. 일반 버전은 3년 서버 버전은 5년을 지원한다.


Ubuntu 10.04
설치

 
 (1) 
Ubuntu
다운로드 : http://www.ubuntu.com/ Download란 에서 Ubuntu 10.04 ISO파일을 다운받는다. (687Mbytes)  


l  ISO 파일을 CD로 굽거나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USB Installer를 이용하여 설치용 디스크를 준비한다. (BIOS 설정을 통해 boot 순서를 CD Reader USB를 우선순위로 설정한다.)
 

l  하드디스크 인스톨 메뉴를 선택한다.

l  사용자에 맡는 환경을 선택한다. (어려운 부분은 없다.)

l  설치 과정


l
 
최초 계정등록은 관리자 계정이 아닌 사용자 계정이다. 


(2)
  
관리자 계정 설정이 필요하다. 처음에 설치하면 관리자모드 su-명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럼 관리자 계정을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한다

$sudo passwd root

관리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로그인 한다. (비밀번호 및 비밀번호 확인로그인 총 두 번 물어본다.)

 
$su-

 앞
에서 설정한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리눅스는 보안상 비밀번호를 누를 때, 빈 화면이다.)


(3) 기본 라이브러리 및 Software설치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Database 설치 과정  (0) 2012.02.14
gif 파일 만들기  (0) 2012.01.02
구글 크롬 피싱 및 악성코드 차단 풀기  (0) 2011.12.31
하이 앤 로 레벨 포맷 (High & Low Level Format)  (0) 2011.12.28
훈민정음 뷰어  (0) 2011.12.26
Posted by 캐논볼
,


 위과 같은 경고문구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잠재적인 문제를 보호하기 위한 구글 크롬의 기능이지만, 귀찮을 때가 많다. 인터넷 브라우저까지 감시하는 카스퍼스키 안티 바이러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 

 위와 같은 기능을 제거하기 위해서


 우측 상단에 있는 크롬 설정 및 관리에 들어간다.(스패너 모양 아이콘) 고급설정을 선택한다음 위와 같은 피싱 및 악성코드 차단 사용 체크를 해제하면 기능이 해제된다.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f 파일 만들기  (0) 2012.01.02
Ubuntu 10.04 LTS 설치  (0) 2011.12.31
하이 앤 로 레벨 포맷 (High & Low Level Format)  (0) 2011.12.28
훈민정음 뷰어  (0) 2011.12.26
도시바 노트북 윈도우 xp 다운그레이드  (0) 2011.12.22
Posted by 캐논볼
,
출처 : 네이버 지식사전


하이 레벨 포맷 [ high level format ]

하드 디스크의 일부, 또는 전체에 파일 시스템의 기본 틀을 구축해 놓는 것. 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 체계(MS-DOS)에서는 명령어로서 'format C:'와 같이 입력하여 수행시키며, 윈도에서는 메뉴에서 포맷할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수행시킨다. 하이 레벨 포맷은 하드 디스크의 모든 내용을 지우거나 운영 체계를 다시 설치할 경우에 하게 되며, 하드 디스크에 오류가 생겨 하이 레벨 포맷이 불가능해 지면 로우 레벨 포맷을 먼저 시행한 후에 다시 해야 한다.


로 레벨 포맷 [ low level format ]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의 내용을 완전히 지우고 불량 섹터를 검사해 재생하거나 삭제한 후 온전한 섹터만으로 트랙과 섹터를 새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 단계의 논리적 분할 상태로 돌려놓는 것. 하드 디스크는 공장 출하 시 기본적으로 로 레벨 포맷 상태로 출고되므로 처음 구입한 후에는 FAT나 NTFS 등 운영 체계(OS)가 지원하는 하이 레벨 포맷만 시행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바이러스,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불량 섹터(bad sector)가 발생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로 레벨 포맷을 시행하여 불량 섹터를 재생하거나 제거해서 사용해야 한다. 하이 레벨 포맷이 물리적인 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는 데 반해 로 레벨 포맷은 하드 디스크 안의 모든 물리적인 데이터 상태를 공장 출하 시와 같이 초기화시키므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0.04 LTS 설치  (0) 2011.12.31
구글 크롬 피싱 및 악성코드 차단 풀기  (0) 2011.12.31
훈민정음 뷰어  (0) 2011.12.26
도시바 노트북 윈도우 xp 다운그레이드  (0) 2011.12.22
나는 앱등이가 아니다  (0) 2011.12.17
Posted by 캐논볼
,

훈민정음 뷰어

IT 생활 2011. 12. 26. 20:25

 훈민정음, 한 때 삼성PC를 사면 번들로 끼워주던 제품이다.

 지금은 많이 안쓰지만 종종 고대문서(?)를 열어보기 위해서 뷰어가 필요하다.

 네이버에 있는 훈민정음뷰어는 윈도우 95/98/NT 환경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윈도우 XP/7에서는 설치가 불가하다.

 http://www.jungum.com/html/kr/03_Download/03_04_Viewer.html?part=Download&sec=4 

 삼성에서 운영하는 정음닷컴에서 정음글로벌뷰어를 설치하면 *.gul 파일을 열어볼 수 있다.

 한 때 국내 문서편집을 주름잡던 훈민정음과 한컴의 한글, 지금은 한글의 사용빈도도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윈도우와의 연계가 잘 되는 MS Office Word를 개인적으로 더 선호하는 편이다. 오래전부터 쓰이던 양식에서는 한글이 아직도 많이 쓰이는 것 같으나, 실무적 활용도는 워드가 높다고 할 수 있겠다. 

Posted by 캐논볼
,

 친구 노트북을 포맷하고 다운그레이드 해주게 되었다.

 xp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잘 쓰고 있었지만 윈도우7이 나오면서부터 설치CD와 방법을 거의 까먹고 있었던 터였다.

 윈도우 비스타로 도시바 노트북을 구매하신 분들을 위해 몇 가지 팁을 말해드리고자 한다.


1. 윈도우 설치시디로 부팅을 하고자 할 때 0x0000007B라는 오류가 날 때 BIOS 설정으로 들어가서 Advanced 탭에서 HDC Configure as 를 AHCI 에서 compatibility로 변경해주면 해결된다.

2. 윈도우 xp 다운그레이드 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도시바에서 공식적으로는 지원해주지 않으나 비공식적으로  http://www.toshiba.co.kr/support/download/download.asp 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윈도우 xp와의 호환성은 보장하지 않지만 대부분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이다. 

3. 윈도우 xp 자동인증은 권장하는 바가 아니지만 찾으시는 분들이 있을 것으로 안다. 개인의 선택에 맡긴다.  http://pcycom.tistory.com/250 또한 참고로 카스퍼스키 및 일부 보안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크랙을 바이러스로 판단하여 다운로드를 금지하고 있다. 이것을 모르고 블로거 한분의 댓글에 바이러스라고 귀뜸을 해놓았는데 이 글로나마 무지함의 황송함을 전한다.

4. 윈도우 설치 후 사용했던 유틸리티 모음


 백신으로는 카스퍼스키를 쓰고있지만 친구 노트북에는 v3lite를 깔아주고 브라우저로 구글 크롬을 설치해주었다.

'IT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 앤 로 레벨 포맷 (High & Low Level Format)  (0) 2011.12.28
훈민정음 뷰어  (0) 2011.12.26
나는 앱등이가 아니다  (0) 2011.12.17
링크나우 항공항공대 동창 모임  (0) 2011.12.16
조립 데스크탑 선택 방법  (2) 2011.12.15
Posted by 캐논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