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rankey.com 도메인을 입력한 후 enter를 눌렀을 때 어떻게 Data가 이동될 것인가? 통상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이루어진다.
1) 최초 자체 PC의 hosts 파일에 질의 후 없을 시
2) 사용자 PC에 세팅된 DNS로 1차 질의
3) 최상위 ROOT 네임서버 에서 하부 .com 네임서버로 이동하며 다시 www.rankey.com의 네임서버를 찾게 됨.
4) Ns1.mediachannel.co.kr 에서 www.rankey.com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
DNS란 각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매칭시켜주는 시스템으로 쉽게 사용자에게 인식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DNS와 관련된 파일은 주로 name.conf, resolv.conf, zone 파일을 들 수 있는데 이번 컬럼에서는 Zone 파일에 대한 규칙을 살펴보자.
Zone 파일 내에서 주석을 사용시는 “;” 표시를 사용하며 어디서 사용하든 그 뒷부분을 주석으로 이식된다. 그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TTL(Time To Live)
가장 중요한 값 중 하나로 해당 도메인 즉 rankey.com에 대한 도메인 정보를 네임서버에 가져간 후 다시 재 질의를 던지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서버 이전이나 빠른 적용을 원할 경우 이 값을 미리 줄여두는 것은 필수 요건이다.
서버 이전이나 빠른 적용을 원할 경우 이 값을 미리 줄여두는 것은 필수 요건이다.
2) @
“@”는 origin domain을 말하며 rankey.com을 말한다.
또한 zone파일 내에서 전체 도메인을 쓸 경우 반드시 도메인 마지막 부분에 “.”를 붙여야 한다.
또한 zone파일 내에서 전체 도메인을 쓸 경우 반드시 도메인 마지막 부분에 “.”를 붙여야 한다.
3) Serial
Secondary name server 와의 통신에 필요한 것으로 2차 네임서버에서의 Serial 값과 비교해 1이상 클 경우 기존 zone 파일 대신 새로운 zone 파일을 가져가게 된다.
대신 해당 값은 12자리 이내로 사용해야만 하며 그 이상일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대신 해당 값은 12자리 이내로 사용해야만 하며 그 이상일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4) Refresh
2차 네임서버에서 1차 네임서버로 주기적 체크를 하게 되는데 필요한 주기 값
5) Retry
2차 네임서버에서 1차 네임서버로 접속에 문제 발생 시 재 접속할 간격을 말함.
6) Expire
2차 네임서버에서 1차 네임서버로 접속에 문제 발생 시 Expire에 지정된 시간까지만 접속을 시도하며 그 이후 삭제된 도메인으로 자체 판단.
7) Minimum
이는 최 상단의 ttl과 같은 값으로 동일하게 세팅한다.
8) NS record
해당 도메인 rankey.com 에 대한 네임서버를 지정하는 record로 여러 개를 등록할 수 있다.
9) MX(Mail exchange) recored
해당 도메인의 메일 서버 설정이며 여러 개의 메일서버 설정이 가능하다.
MX 뒤의 숫자는 상대적 값으로 낮은 숫자가 우선시 된다.
MX 뒤의 숫자는 상대적 값으로 낮은 숫자가 우선시 된다.
10) A recored
2차 도메인 www.rankey.com과 같은 실제 도메인에 IP주소를 연결하는 record.
11) V=spf1 ip4:~~~ ~all
해당 도메인의 메일에 대한 spam 정보를 파악하는 기술로서
v=spf1 :버전
ip4 : IPv4 주소 /24와 같이 Mask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단위의 표현이 가능
a : DNS의 A 레코드로 설정한 IP주소
mx : DNS의 MX 레코드로 지정한 IP주소
ptr : PTR 레코드로 지정된 IP주소
include : TXT 레코드에서 설정을 찾는다.
~ all : 이것과 같지 않은 것은 알아서 하라.
- all : 이것과 같지 않은 것은 차단하라(Drop).
지금까지 설명한 위의 옵션을 사용하며 256byte 까지만 인식되고 그 이상의 되면 도메인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다.
v=spf1 :버전
ip4 : IPv4 주소 /24와 같이 Mask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단위의 표현이 가능
a : DNS의 A 레코드로 설정한 IP주소
mx : DNS의 MX 레코드로 지정한 IP주소
ptr : PTR 레코드로 지정된 IP주소
include : TXT 레코드에서 설정을 찾는다.
~ all : 이것과 같지 않은 것은 알아서 하라.
- all : 이것과 같지 않은 것은 차단하라(Drop).
지금까지 설명한 위의 옵션을 사용하며 256byte 까지만 인식되고 그 이상의 되면 도메인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외부 접속 설정 (0) | 2015.09.07 |
---|---|
리눅스 백업 관련 (0) | 2015.08.31 |
Timestamp 이용하기 (0) | 2015.08.19 |
"su" 와 "su - root" 차이 (0) | 2015.08.10 |
vim ctrl+z 후 복귀 = fg (0) | 2015.07.20 |